평소에 적당량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에너지 충전을 위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꼭 필요한 기본적인 행위입니다. 그러나 본인의 적정 음식량보다 과식을 하게 되었을 경우 몸에서 순조롭게 소화되지 않고 복통이 발생하거나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속이 더부룩할때, 속이 답답할 때의 증상들이 자주 나타난다면 소화기계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주의하셔야 됩니다. 오늘은 속이 더부룩할때 증상 원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속이 더부룩할때 나타나는 증상
과식을 했을 때 몸이 많은 양의 음식물을 소화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로 인해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식을 하지 않았을 때에도 속이 더부룩할때 증상이 나타난다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증상들을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과식을 하지 않았는데도 속이 답답하다면 구역질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토, 속 쓰림, 복부팽만, 복부 통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림이 자주 나오게 되고 방귀가 나오는 증상이 계속 반복될 수 있습니다.
2. 속이 더부룩할때 증상 원인
① 폭식과 과식 : 폭식과 과식을 하게 되면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꺼번에 많은 음식을 배가 부를 때까지 먹게 되면 소화기계에서 모든 음식물을 소화하지 못하고 소화 속도도 더디게 되면서 속이 더부룩할 수 있습니다.
② 서구화 된 식생활 습관 : 패스트푸드나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게 되면 위장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소화가 잘 안 될 수 있고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③ 생리전증후군 : 여성분들의 경우 생리 시작 7~14일 전에 생리 전 증후군 증상으로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설사, 변비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3. 속이 더부룩한 증상과 관련된 특정질환
① 기능성 위장장애 : 기능성 위장 장애는 특별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속 쓰림과 더부룩함, 소화불량, 부글거림 등의 위장관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10% 이상 기능성 위장장애를 갖고 있을 정도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② 과민성 대장증후군 :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앓게 되면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두려움을 느낄 때 설사 증상, 변비 증상이 나타나게 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장 운동이 증가하게 되면서 아랫배 통증을 유발하고 설사, 변비 증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③ 만성 변비 : 변비를 앓고 있다면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배에 가스가 많이 차게 되고 복부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속이 더부룩한 증상 대처방법
① 병원 검사 : 평소에 특별한 원인 없이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오래 지속된다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소화기계에 문제가 있어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속이 쓰리거나 속이 더부룩한 증상의 원인으로 위암도 있기 때문입니다. 암은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한 질병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② 편한 옷 입기 : 하의나 상의가 꽉 끼는 옷, 복부를 압박하는 옷은 소화기계 장애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헐렁한 상의, 하의를 입는 것이 좋습니다.
③ 소화 효소제 섭취 : 소화 효소제는 섭취한 음식물을 몸이 잘 흡수할 수 있도록 분해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평소에 소화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은 소화 효소제를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속이 더부룩한 증상의 원인과 증상, 대처방법과 관련하여 정보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면 속이 불편하고 일상생활에도 어려움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몸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간과하지 마시고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증에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3.14 |
---|---|
소변줄기가 가늘어요 증상 주의해야 합니다. (0) | 2023.03.13 |
당뇨에 좋은음식 5가지와 당뇨 예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3.11 |
잠이 안올때 잠을 잘 자는 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3.11 |
당뇨 초기증상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