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누구나 한 번쯤은 속 쓰림 증상을 경험해 본 적 있을 것입니다. 가끔 공복 상태가 오래 유지될 때 속 쓰림 증상을 경험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복 상태가 아닌데도 속 쓰림 증상이 자주 나타나거나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그 원인을 알아보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주어야 합니다. 오늘은 속 쓰릴때 원인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속 쓰릴때 원인 : 소화성 궤양
속 쓰림이 식사 후 30분 뒤쯤부터 발생하고 통증이 발생한다면 위산이 과다 분비되어 발생하게 되는 소화성 궤양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소화성 궤양은 위산과 펩신이 위장 점막의 결손을 유발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소화성 궤양이 발생하면 소화 장애를 겪게 되거나 상복부 통증, 속 쓰림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속 쓰릴때 원인 : 십이지장 궤양
만약 공복 상태일 때 심하게 속 쓰림 증상이 나타나고 음식물을 섭취한 뒤에는 증상이 완화된다면 십이지장 궤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통 상복부 통증이나 속 쓰림 증상이 밤, 새벽에 발생하게 됩니다. 이 시간대에 위산 분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십이지장 궤양은 십이지장의 점막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손상이 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3. 속 쓰릴때 원인 : 역류성 식도염
음식 물 섭취 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났을 때, 일상생활을 할 때 자주 속 쓰림이 발생한다면 역류성 식도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액이 식도를 타고 역류를 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소화 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구역질, 트림 증상이 나타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목에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고 목소리에 변화가 찾아올 수 있습니다.
4. 속 쓰리는 증상의 원인 : 잘못된 식습관
만약 질환 관련 문제로 속 쓰림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면, 본인의 식습관을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평소에 맵고 짠 음식, 기름 진 음식을 자주 먹는 식습관은 속 쓰림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식사를 챙기기 어려워 간단하게 패스트푸드를 먹는 현대인들이 많습니다. 기름진 음식을 자주 섭취할 경우 속 쓰림 증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5. 속 쓰리는 증상의 원인 : 스트레스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었을 때 속 쓰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위장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소화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속 쓰림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로를 하거나 만성 피로를 겪게 되었을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질환으로 인한 속 쓰림이 아니라면 평소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지는 않은지 자기 자신을 점검해보아야 합니다.
6. 속쓰림에 좋은 음식
속 쓰림이 오래 지속되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병원에 가도 별다른 이상이 없는 사람은 속 쓰림에 좋은 음식을 먹으면서 건강하게 몸을 관리해 보시길 바랍니다.
① 마 : 마를 잘라보면 표면에 끈적끈적한 액체가 보입니다. 이 점액물질은 뮤신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마를 먹게 되면 뮤신이 위벽을 건강하게 보호해주어 속 쓰림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② 브로콜리 : 브로콜리는 속쓰림에 좋은 음식입니다. 브로콜리에는 궤양성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U가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위 점막에 상처가 나거나 염증이 발생했을 때 브로콜리를 먹게 되면 치유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빨간 양배추도 브로콜리와 같은 효능을 가진 채소이기 때문에 브로콜리와 빨간 양배추를 챙겨 먹게 되면 속 쓰림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③ 바나나 : 바나나는 사계절 쉽게 구할 수 있는 식품입니다. 바나나는 천연 제산제라 불리는 식품입니다. 바나나를 먹게 되면 위산을 중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바나나를 먹게 되면 속쓰림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멜론도 바나나와 같은 효능을 가진 과일입니다. 속 쓰림 증상 때문에 식사 시간이 고통스러운 분들은 바나나, 멜론을 함께 드셔보시길 바랍니다.
'건강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십견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3.19 |
---|---|
3월 제철 채소에 대해 알아봅시다. (1) | 2023.03.18 |
가슴 가운데 통증의 원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3.16 |
눈에 좋은 음식 6가지 (0) | 2023.03.15 |
눈 다래끼 원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0) | 2023.03.15 |
댓글